본문 바로가기

정책 & 정보

한부모가정 조건·혜택 총정리|양육비부터 주거지원까지 한눈에!

반응형

한부모가정은 부모 중 한 사람과 자녀가 함께 생활하는 가정을 말합니다.
정부는 양육과 생계에 대한 부담을 덜기 위해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원 요건과 범위도 해마다 조금씩 달라지고 있어 정확한 정보 확인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한부모가정의 조건, 지원 혜택, 신청 방법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한부모가정 조건·혜택 총정리|양육비부터 주거지원까지 한눈에!

 한부모가정이란?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라, 아래와 같은 경우 한부모가정으로 분류됩니다.

구분 내용
모자가정 어머니가 혼자 자녀(만 18세 미만)를 양육하는 경우
부자가정 아버지가 혼자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조손가정 조부모가 손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부모가 없는 경우)
기타 이혼, 사별, 미혼부모, 유기 등으로 양육을 혼자 하는 경우

 

 2025년 한부모가정 지원 조건

한부모가정 복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항목 기준
연령 자녀가 만 18세 미만 (취학 중이면 만 22세까지 가능)
소득기준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청소년한부모는 65%)
재산기준 대도시 약 2.5억, 농어촌 약 1.7억 이하 (지자체마다 다름)
 

👉 예시: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 약 264만 원(2025년 기준)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구분 내용
아동양육비 자녀 1인당 월 200,000원 지원 (중위소득 60% 이하)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생계비, 검정고시 준비, 학업 보조금 등 (중위소득 65% 이하)
주거지원 영구임대주택, 전세임대 우선 공급
교육비 지원 고등학교 학비, 방과후 학습비, 급식비, 교육급여 등
의료급여 일부 진료비, 검사비, 입원비 지원 가능 (기초수급 해당 시)
자녀 돌봄지원 아이돌봄서비스 시간 확대 및 비용 경감
공공근로 우선 참여 한부모가정 대상 공공일자리 우선 채용
기타 휴대폰 요금 감면, 문화누리카드, 에너지바우처 등 다양
 

 

 한부모가정 신청 방법은?

 1.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 신청서가족관계증명서, 소득 재산 증빙서류를 지참해 방문
  •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사이트 이용 가능

 2. 신청 후 소득·재산 조사

  • 시·군·구청에서 중위소득 및 재산 기준 확인

 3. 결과 통보 및 수급자 등록

  • 지원대상자로 확정되면 혜택별 신청 가능

 

 자주 묻는 질문 (Q&A)

Q. 결혼하지 않은 미혼모도 한부모가정에 해당하나요?

A. 네. 혼자 자녀를 양육하고 있다면 미혼모도 한부모가정으로 인정됩니다.

Q. 자녀가 성인이 되면 혜택이 중단되나요?

A. 대부분의 혜택은 자녀가 만 18세가 되는 해의 12월 31일까지만 지원됩니다. 다만, 취학 중인 경우 만 22세까지 일부 혜택 유지 가능합니다.

Q. 자녀가 둘 이상인 경우 양육비는 1명당 지급되나요?

A. 네. 자녀 수에 따라 인당 기준으로 지급되며, 각각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한부모가정이라면 꼭 챙겨야 할 복지제도!

한부모가정은 다양한 제도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자녀 교육비 지원을 받으면서도 주거지원, 돌봄서비스, 문화이용권 등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Q. 복지 혜택을 한 번에 확인하고 싶다면?
 📌복지로 한부모가정 안내 바로가기

 

 마무리: 복지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가장 중요한 건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다"는 점입니다.
주변에 한부모가정이 있다면 꼭 정보를 알려주시고, 본인이 해당된다면 주민센터나 복지로 사이트에서 확인 및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차상위계층 조건, 당신도 해당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총정리)

 

차상위계층 조건, 당신도 해당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총정리)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기초생활수급자에는 해당되지 않는 분들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바로 차상위계층 제도입니다.정부는 이들을 위해 건강보험료 감면, 교육지원, 긴급복지 등 다

miso-rich.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