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 정보

DSR 규제 총정리: 나도 대출 막히는 대상일까?

반응형

"내 연봉에 이 정도 대출은 괜찮을 줄 알았는데… DSR 때문에 안 된다고요?"

요즘 대출을 받으려는 많은 사람들이 마주하는 현실입니다.

 

정부는 부동산 과열과 가계부채 증가를 막기 위해 2025년까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단순히 집값만 보고 대출을 승인하던 과거 방식과 달리, 개인의 상환 능력 중심으로 대출을 제한하는 기준입니다.

 

DSR 규제 총정리: 나도 대출 막히는 대상일까?

 

이번 글에서는 "나도 DSR에 걸릴까?", "어떤 대출까지 포함될까?"라는 실제 질문들을 중심으로 현실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DSR이란?

DSR (Debt Service Ratio) = 연간 총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 연간 갚아야 할 모든 대출의 원리금(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학자금대출 등 포함)을
  •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예) 연봉 5,000만 원 직장인이 매년 2,500만 원을 원리금 상환해야 한다면, DSR은 50%입니다.

 

 2025년 확대 적용 핵심 요약

구분 2024년 2025년 이후
DSR 적용 대상 1억 초과 대출자 6천만 원 초과 대출자 (또는 보증 포함 시 3천만 원 초과)
DSR 한도 40% (기본) 30~40% (소득·연령별 차등 적용)
적용 대상 대출 주담대 + 신용대출 주담대 + 전세대출 + 정책대출 포함

 

🔸 핵심 포인트: 전세대출과 보증부 대출도 DSR 포함 대상 확대

👉 DSR 계산기 활용 (금융감독원 공식 사이트 바로가기 : 파인)

 

 어떤 대출이 포함되나요?

포함되는 대출 비고
주택담보대출 변동·고정 모두 포함
전세자금대출 은행 + 보증서 대출 모두 포함 예정
신용대출 1천만 원 이상 시 대부분 반영
학자금대출 상환 개시된 경우 포함
자동차할부·카드론 일부 금융사 적용
정책서민대출 (햇살론 등) 일부 제외 가능하나 단계적 포함 예정

🔸 카드값, 통신비, 공과금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DSR 적용 예시

사례 1. 연봉 4,000만 원 직장인

신용대출 3천만 원 → 연 4% 금리 기준 월 25만 원

  • 전세자금대출 1억 원 → 보증부 연 2.5% 기준 월 42만 원

기존 주담대 없음

연간 상환액 = (25만 + 42만) × 12개월 = 약 804만 원

DSR = 804만 / 4,000만 = 약 20.1% → 신규 대출 여력 있음

 

사례 2. 연봉 6,000만 원, 주담대 보유자

  • 주담대 3억 원 → 연 3.8% 금리, 30년 만기 월 140만 원
  • 신용대출 2천만 원 → 연 5% 금리, 월 50만 원

연간 상환액 = (140만 + 50만) × 12 = 2,280만 원

DSR = 2,280 / 6,000 = 38% → 추가 대출은 어려움

 

 내가 DSR에 걸리지 않으려면?

  1. 기존 대출 상환 우선
    • 신용대출·카드론은 조기 상환 시 DSR 낮아짐
  2. DSR 우회 불가능 시대
    • 과거처럼 전세대출·사업자대출로 우회 불가
  3. 금리 인상도 변수
    • 금리가 오르면 같은 대출 금액도 DSR 비중이 상승
  4. DSR 30% 기준도 적용될 수 있음
    • 고소득자 제외, 평균 직장인은 30~35% 예상

 

 스트레스 DSR 단계별 적용표

단계 시행 시기 적용 대상 (은행권) 적용 대상 (2금융권) 스트레스 금리
1단계 2024년 2월 주택담보대출 - 0.38%
2단계 2024년 8월 주택담보대출 +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0.75% (수도권 1.20%)
3단계 2025년 7월 1일 주담대 + 신용대출 + 기타대출 주담대 + 신용대출 + 기타대출 1.50% (지방 주담대 0.75%)

📌 스트레스 금리란? 대출 심사 시 실제 금리가 아닌 '더 높은 가상 금리'를 적용해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제도입니다. 예컨대, 3% 대출이라도 심사상 4.5%로 계산해 DSR을 판단합니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기사  바로보기 

 

 마무리 요약

핵심 포인트 설명
DSR이란? 연 소득 대비 연간 모든 원리금 상환액 비율
확대 시점 2025년부터 DSR 적용 대상 확대 및 기준 강화
포함 항목 주담대, 전세대출, 신용·학자금 등 대부분 포함
영향 대상 중소득층, 다중대출자, 청년층 등 주의 요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