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생활의 안정적인 버팀목, 바로 기초연금입니다.
많은 분들이 “우리 부모님은 해당될까?”, “나는 받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하시는데요.
오늘은 2025년 기준 기초연금의 대상, 수급액, 제외 대상,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리겠습니다.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매달 지급되는 제도입니다.
노후에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2014년부터 시행된 대표적인 노인 복지 제도입니다.
기초연금 대상자 기준
구분 | 2025년 기준 |
연령 | 만 65세 이상 |
국적·거주 | 대한민국 국적 + 국내 거주 |
소득 기준 |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일 것 |
👉 여기서 소득인정액이란 단순한 월급만 보는 게 아니라, 근로·연금·사업·재산(부동산·예금 등)을 소득으로 환산해 합산한 금액을 말합니다.
2025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 단독가구 : 월 2,280,000원 이하
- 부부가구 : 월 3,648,000원 이하
즉, 어르신이 혼자 사시면 소득인정액이 월 228만 원 이하여야 하고, 부부가 함께 살면 월 364만 8천 원 이하여야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액 (2025년 기준)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입니다.
- 일반 수급자 : 월 최대 342,510원
- 저소득 수급자(하위 40% 이하) : 월 최대 300,000원
- 부부가구(두 분 모두 수급 시) : 각각 최대 274,010원 (부부 감액 적용)
👉 정리하면, 단독 가구는 최대 34만 원대, 부부는 합산 약 55만 원대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노후 생활에서 식비, 병원비를 보탤 수 있는 작지만 든든한 금액이지요.
기초연금, 이런 경우엔 제외됩니다
기초연금은 모든 어르신이 받는 건 아닙니다. 대표적인 제외 사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고소득·고재산 보유자
- 단독가구 228만 원, 부부가구 364.8만 원을 초과할 경우
- 해외 장기 거주자
- 국내 거주 요건 미충족 시 제외
- 특정 고액 공적연금 수급자
-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등 고액 연금을 받고 있으면 조정 가능
- 기본 요건 미충족
- 주민등록 말소, 국적 상실 등
👉 한 가지 오해!
국민연금을 받지 못한다고 해서 기초연금도 못 받는 건 아닙니다.
국민연금 수급 여부와 상관없이 기초연금은 따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신청 방법
- 신청 시기 :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
- 예: 1960년 4월생 → 3월 1일부터 신청
- 신청 장소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국민연금공단 지사
- 복지로(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가능
- 필요 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등
- 특별 지원
- 거동이 불편한 경우 ‘찾아뵙는 서비스’ 요청 가능
실용 팁
- 자가진단 먼저!
복지로·기초연금 홈페이지에서 소득인정액을 미리 계산해보세요. - 신청 후 지급일
신청 다음 달부터 매월 25일 지급 (공휴일이면 전일 지급) - 한 번 탈락해도 다시 도전!
‘수급희망 이력관리제도’ 덕분에, 조건 충족 시 자동으로 다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자녀분이 도와드리면 편리
대리 신청 가능하니, 부모님과 함께 신청하시면 훨씬 수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은 함께 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기초연금 금액이 일부 조정될 수 있어요.
Q2. 부부가 같이 신청하면 둘 다 받을 수 있나요?
네. 두 분 모두 만 65세 이상이고 기준 충족 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부부가 함께 수급하면 감액되어 각각 약 27만 원 수준을 받습니다.
Q3. 과거에 탈락했는데 다시 신청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매년 소득·재산 기준이 달라지고, 제도도 개선되니 재도전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
마무리
기초연금은 노후 생활을 안정적으로 지탱해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나는 해당 없겠지”라고 생각했던 분들도 기준 완화 덕분에 혜택을 받는 경우가 늘고 있어요.
혹시 주변에 신청하지 않은 어르신이 계신다면, “이번엔 꼭 한번 알아보세요!” 하고 권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작은 금액 같아도 매달 안정적으로 들어오는 연금은 노년의 생활 질을 지켜주는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습니다.
'연금·복지·생활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선물과 청탁금지법: 청탁금지기간·금액한도 정리 (0) | 2025.09.20 |
---|---|
추석 차례상: 간소화 예시부터 제사상 차이까지 알아야 할 모든 것 (0) | 2025.09.19 |
[기초연금 2편] 감액 기준과 제외 대상부터 실생활 대응 팁까지 정리 (0) | 2025.09.09 |
희망저축계좌 1 vs 희망저축계좌 2 : 나에게 맞는 자산형성 지원은? (0) | 2025.09.07 |
중장년일자리를 위한 중장년 경력지원제 안내 | 재취업 기회로 떠오른 정책 (0) | 2025.08.28 |
민생지원금 2차 지급기준·지급날짜 정리 | 중위소득 210% 금액까지! (0) | 2025.08.21 |
하반기 숙박세일페스타 총정리|최대 5만 원 숙박할인권 발급 조건 및 사용 꿀팁 (0) | 2025.08.19 |
복지로 자가진단으로 나도 복지혜택 받을 수 있을까? 한 번에 확인하는 방법! (0) | 2025.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