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금·복지·생활 지원

추석 차례상: 간소화 예시부터 제사상 차이까지 알아야 할 모든 것

반응형

추석 차례상, 차례음식, 제사상… 분위기가 비슷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처럼 풍성함은 좋지만, 준비 부담과 갈등도 생기곤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추석 차례상의 유래, 대표 음식, 간소화 예시, 그리고 제사상과의 차이까지 궁금한 점들을 콕 집어 알려드릴게요.

 

추석 차례상: 간소화 예시부터 제사상 차이까지 알아야 할 모든 것

 

1. 추석 차례상의 유래와 의미

  • 추석(음력 8월 15일)은 가을 풍요와 수확에 감사하는 전통 명절이에요. 햅쌀, 햇과일 등 올 입수한 곡식과 과일을 조상에게 바치며 감사 표현함. 
  • ‘차례(茶禮)’란 명절이 돌아왔음을 조상에게 알리는 의식으로, 차(茶)를 올리는 예(理)에서 유래했다는 설명이 있으며, 차례라는 명칭도 여기서 나왔습니다. 

 

2. 대표적인 추석 차례상 음식 종류

추석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들은 지역, 가정에 따라 다르지만, 전통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들이 있어요.

종류 예시 음식
밥/떡 햅쌀밥, 송편
국/탕 토란국, 맑은 국
생선/육류 생선 구이, 고기 편육 또는 구이
전류 동그랑땡, 생선전, 육전 등
나물류 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숙주나물 등
포/젓갈/식혜 포(말린 생선류), 젓갈, 식혜
과일/견과/후식 밤, 대추, 배, 사과, 곶감 등
  • 추석엔 밥 대신 송편을 차례상에 올리는 것을 전통으로 보는 가정이 많습니다. 
  • 명절 특성상 햇과일, 햅쌀 등 그 해의 수확물을 활용하는 비중이 크고, 전 또는 나물처럼 손이 많이 가는 음식도 포함됨

 

3. 제사상과 차례상의 차이

구분 차례상 제사상
시기 명절날 아침, 설·추석 등 정해진 명절에 조상의 기일, 돌아가신 날짜
의미 명절을 맞아 조상께 명절 인사 & 감사 돌아가신 분을 기리는 추모 의례
음식 규모 비교적 간소할 수 있음, 명절 특식 포함 더 많은 음식, 그러나 가정마다 다름
상차림 예법 밥/송편, 과일, 나물, 국 또는 탕, 전 등 대표적 예 밥, 국, 여러 반찬 + 전, 고기, 과일까지 다양
절차 차례는 축문 없거나 간단한 예절 중심 경우에 따라 축문 읽음, 엄숙한 예식 포함됨
  • 예: 제사상은 고인의 기일에 밤 시간에 지내는 경우도 있고, 차례는 명절 아침에 지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제사상에는 과일이나 전을 많이 올리는 경향이 강하고, 양과 종류가 많아 준비가 더 번거로울 수 있음. 차례상은 본래 간결했으나 현대에 와서 과잉 양상도 있음. 

 

 

4. 차례상의 간소화 예시

준비 부담이 크다는 의견이 많아지면서, 차례상 간소화 움직임도 생겨요.

  • 성균관에서 제시한 표준 차례상 예시: “술과 과일 포함해 9가지 품목만 올려도 충분하다”는 제안이 있음. 
  • 전부 요리하지 않아도 되고, 기름에 튀기거나 기름 많이 쓰는 전을 줄이는 것, 또는 전 없이 간단한 전 한 접시 정도만 하는 것도 예로 들림.
  • 과일도 다 종류별로 많이 올리기보다 대표적인 두세 가지 정도만 준비하는 집도 많고, ‘홍동백서’(붉은 과일 동쪽, 흰 과일 서쪽)나 ‘조율이시’(대추·밤·배·감 순) 등의 예법은 꼭 지켜야 하는 기준은 아니라는 인식 증가.

출처: 성균관유교문화활성화사업단

 

5. 궁금한 질문들 & 팁

  • “홍동백서, 조율이시 등의 예법 꼭 지켜야 하나요?”
    전통 예법이긴 하지만, 가족 간 분위기·의미가 더 중요한 만큼 너무 부담 가질 필요는 없고, 간소화된 형식도 점점 수용되는 추세입니다.
  • “송편 vs 밥, 어느 쪽이 더 전통인가요?”
    추석 차례에는 송편이 대표적 특식으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고, 본래 밥 대신 송편을 사용하는 집도 많습니다. 하지만 밥을 사용하는 가정도 있고, 지역마다 다르니까 가족 전통과 상의하세요.
  • “전 많은 음식 준비하기 힘든데, 없으면 누가 뭐라고 하나요?”
    없습니다. 최근엔 “적정한 예”를 강조하는 사회적 움직임이 커지고 있고, 간소한 상차림도 전통 예법을 지키는 한 방식으로 인정받고 있어요. 실제 조사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간소 차례상”을 원하고 있다는 보도 있음. 

 

6. 마무리

차례상을 준비하다 보면 ‘좋은 상을 차려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을 수 있어요.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정성이고 마음입니다.

햇곡식으로 지은 송편, 조용한 아침에 가족과 함께 하는 절, 과일 하나라도 조심스럽게 골라올린 작은 마음—이것들이 차례의 본질이죠.

올해는 부담보다는 감사와 온기 중심으로, 가족 모두가 마음 편한 차례상을 준비해보면 어떨까요?

 

<참고>

추석 선물과 청탁금지법: 청탁금지기간·금액한도 정리

 

추석 선물과 청탁금지법: 청탁금지기간·금액한도 정리

추석이 다가오면 “선물 뭐 사야 하지?”, “청탁금지법에서는 얼마나 허용하더라?” 하는 고민 많으실 텐데요.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청탁금지법의 추석 명절 선물 허용 기준(기간, 금액 등)

miso-rich.co.kr

 

 

반응형